주식 인사이트

SCHD를 넘보는 DGRW, 한국판 배당 성장 ETF

'┗⅝┳㈌cㆍ 2025. 5. 15.

배당 투자는 불확실한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특히, 미국 배당 ETF는 국내 투자자에게도 인기가 높습니다. 그중 SCHD는 ‘대표 배당 ETF’로 자리 잡았지만, 또 다른 유망 ETF인 DGRW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 DGRW의 전략을 벤치마킹한 한국판 ETF가 국내에 상장됩니다. DGRW ETF의 특징, SCHD와의 차이점, 그리고 한국판 DGRW인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DGRW, 한국판SCHD

 

 

DGRW란 무엇인가?

DGRW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owth ETF)는 미국의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가 운용하는 대표적인 배당 성장 ETF입니다. 이 ETF는 단순히 배당 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편입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배당을 늘릴 수 있는 가능성에 집중합니다.

 

DGRW의 주요 포인트

1) 포트폴리오 구성 기준

미국 내 대형·중형주 중 최근 3년간 EPS 성장률, 자기자본이익률(ROE), 총 자산이익률(ROA) 등을 기준으로 우량 기업 선별

 

2) 현재 배당보다 미래 배당에 초점

배당 수익률이 낮아도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을 포함

 

3) 대표 편입 종목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존슨앤존슨 등

 

이처럼 DGRW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기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으며, 성장형 배당 투자에 최적화된 전략입니다.

 

 

SCHD와의 차이점은?

많은 투자자들이 비교하는 SCHD와 DGRW의 핵심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항목 SCHD DGRW
전략 고배당 안정성 중심
배당 성장 가능성 중심
포트폴리오 기준 높은 배당 수익률과 재무건전성
수익성(ROE, ROA), 성장성(EPS 증가율)
주요 종목 코카콜라, 홈디포 등 전통적 고배당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성장 대형주
기대 효과 꾸준한 배당 수익
장기적 배당 성장 + 주가 상승 가능성

 

즉, SCHD는 현재 안정적 배당을, DGRW는 미래의 배당 확대 및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는 ETF입니다.

 

 

 

한국판 DGRW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 출시

2025년 5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미국 DGRW ETF를 벤치마킹한 ETF를 국내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ETF 이름은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 한국판 DGRW로 불리는 이 상품은 국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징 요약

1) 기초지수: 미국 우량 배당 성장주 중심

2) 전략: DGRW와 유사한 EPS, ROE 기반 선별 방식

3) 편입 종목: 미국 대표 기술주와 헬스케어·소비재 우량주 중심

4) 장점:

국내 증시에 상장되어 환전 없이 원화로 투자 가능 세제 혜택 가능 (국내 상장 ETF 기준)

DGRW와 유사한 성장형 배당 투자 전략을 국내에서도 실행 가능

 

 

지금 왜 배당 ETF인가?

2025년 들어 글로벌 증시는 금리, 경기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안정성과 성장성을 겸비한 배당 ETF는 투자 포트폴리오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DGRW 전략은 단순히 ‘지금 주는 배당’보다 ‘앞으로 더 줄 수 있는 배당’에 집중해, 성장 잠재력이 큰 기업들을 선별하는 방식이라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구조입니다.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는 장기적으로 투자할수록 배당 성장 효과가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DGRW는 배당과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의 대표 ETF입니다. 이런 ETF가 국내 상장되어 원화로 거래 가능해진다는 건, 배당 투자를 고려 중인 개인 투자자에게 큰 기회입니다. 특히, 국내 투자자들은 기존에 SCHD를 위주로 배당 ETF에 접근해 왔지만, 이제는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를 통해 ‘배당 성장형 투자 전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ETF 시장의 중심이 단순 고배당에서 퀄리티와 성장성 중심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번 한국판 DGRW의 출시는 그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